반응형
오늘 공부한 내용📓
- 네트워크
개념 공부
프로토콜
- 컴퓨터 내부 or 컴퓨터 간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
-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하여 데이터 형식에 대한 상호 합의가 요구되며, 이러한 형식을 정의하는 규칙의 집합
TCP/IP
- 인터넷에서 가장 멀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 TCP 란?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많은 양의 데이터를 패킷으로 교환하여 전송하고, 전달받은 패킷을 재조립하는 역할을 함
- IP 란?
-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칙
- IP는 4개의 숫자로 구성되며, 숫자의 크기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뉨
- IPv4
- 32비트, 각 숫자는 1바이트
- 10진수로 표현하고, 각 자리는 . 으로 구분
- IPv6
- 128비트, 각 숫자는 4바이트
- 각 자리를 4자리 16진수로 표현하고, :로 구분
- IPv4
- 아래와 같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을 담당 HTTP, FTP, TELNET 프로토콜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통신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 담당 TCP, UCP 프로토콜 |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데이터를 어드레싱, 패키징, 라우팅하고, 네트워크 장치 간의 패킷 교환 담당 IP 프로토콜 |
네트워크 접근 계층 Network Access Layer |
데이터(TCP/IP 패킷)를 물리적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대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TCP/IP 패킷)를 수신하는 역할 담당 |
- 데이터의 전송 과정
- 다음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송될 때, 전송 계층의 헤더를 추가하여 전송함
- 데이터의 수신 과정
- 송신 과정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며, 해당 계층의 헤더를 스트립하여 전송함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혹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선한 관심과 도움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0618 (0) | 2023.06.19 |
---|---|
[TIL] 20230617 (0) | 2023.06.18 |
[TIL] 20230601 (0) | 2023.06.02 |
[TIL] 20230531 (0) | 2023.06.01 |
[TIL] 20230530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