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공부한 내용📓
- 네트워크
개념 공부
스위치
- 네트워크 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
- 네트워크 장치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12자리 숫자인 MAC 주소를 사용하여, 해당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
- IP주소를 사용하여, 해당 네트워크로 전송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
-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모든 경로들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경로를 따로 모아두는 공간
- 목적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IP 주소, 메트릭(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포함됨
-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생성되며, 네트워크 노드가 서로 통신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학습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함
- 라우터가 패킷을 어디로 전송할 지 경로를 결정할 때,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함
사설 IP (Private IP)
- IP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로 구분되며, 공인 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이고, 사설 IP는 인터넷에서 사용되지 않는(접근할 수 없는) IP주소
- 사설 IP는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됨
- 사설 IP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싶을 경우, 공인 IP 주소를 가진 라우터를 통해야 함
특수 용도 IP
- 일부 IP 주소를 사설 IP 주소나 내부 LAN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도록 예약된 것을 의미함
- 이 IP를 사용할 경우 내부적으로만 통신할 수 있고,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 불가
주소 대역 | 주소 범위 | 용도 | 설명 |
0.0.0.0/8 | 0.0.0.0–0.255.255.255 | Software | 현재 네트워크 (소스 주소로만 유효) |
10.0.0.0/8 | 10.0.0.0–10.255.255.255 | Private network | 개인 네트워크 내의 로컬 통신에 사용 |
100.64.0.0/10 | 100.64.0.0–100.127.255.255 | Private network | 캐리어 급 NAT를 사용할 때 서비스 제공 업체와 가입자 사이의 통신을위한 공유 주소 공간. |
127.0.0.0/8 | 127.0.0.0–127.255.255.255 | Host | 로컬 호스트로의 루프백 주소에 사용 |
169.254.0.0/16 | 169.254.0.0–169.254.255.255 | Subnet | 일반적으로 DHCP 서버에서 검색되는 것과 같이 IP 주소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일 링크에서 두 호스트 간의 링크 로컬 주소에 사용 |
172.16.0.0/12 | 172.16.0.0–172.31.255.255 | Private network | 개인 네트워크 내의 로컬 통신에 사용 |
192.0.0.0/24 | 192.0.0.0–192.0.0.255 | Private network | IETF 프로토콜 할당 |
192.0.2.0/24 | 192.0.2.0–192.0.2.255 | Documentation | TEST-NET-1, 문서 및 예제로 지정 |
192.88.99.0/24 | 192.88.99.0–192.88.99.255 | Internet | 예약석. IPv6-IPv4 릴레이 (IPv6 주소 블록 2002 :: / 16 포함) |
192.168.0.0/16 | 192.168.0.0–192.168.255.255 | Private network | 개인 네트워크 내의 로컬 통신에 사용 |
198.18.0.0/15 | 198.18.0.0–198.19.255.255 | Private network | 두 개의 개별 서브넷 간 네트워크 간 통신 벤치 마크 테스트에 사용 |
198.51.100.0/24 | 198.51.100.0–198.51.100.255 | Documentation | TEST-NET-2, 문서 및 예제로 지정 |
203.0.113.0/24 | 203.0.113.0–203.0.113.255 | Documentation | TEST-NET-3, 문서 및 예제로 지정 |
224.0.0.0/4 | 224.0.0.0–239.255.255.255 | Internet | IP 멀티 캐스트에 사용 |
233.252.0.0/24 | 233.252.0.0-233.252.0.255 | Documentation | ? |
240.0.0.0/4 | 240.0.0.0–255.255.255.254 | Internet |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예약 |
255.255.255.255/32 | 255.255.255.255 | Subnet | "제한된 브로드 캐스트"대상 주소로 예약 |
Netpractice 문제 풀이
Level 2
- Goal 1
- 서브넷마스크가 동일하여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B1의 Mask를 A1과 동일하게 넣어준다.
- Mask 가 255.255.255.224 이니, 8개의 네트워크와 32개의 호스트 수를 가지고 있다. B1의 IP가 192.168.95.222 이니, A1의 IP는 192.168.95.193 ~ 192.168.95.221 로 넣어주면 된다.
- Goal 2
- C1과 D1의 IP가 127.0.0.1, 127.0.0.2 로 설정되어 있다. 이건 특수용도 IP 중 루프백 주소(컴퓨터가 자기 자신과 통신하는 IP)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다른 IP를 넣어준다
- 이 문제를 풀다 보니, Goal 1에서도 사설IP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건 왜 되는지 물어보니, A1 과 B1 이 직접 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내부망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한다.
- 그리고 C1과 D1의 Mask가 /30 인데, 초기 세팅되어 있던 특수목적IP의 서브넷마스크는 /8 이다. 서브넷마스크가 동일하지 않은데, 특수목적 IP의 통신이 불가능했던 이유를 물어보니, /30은 /8의 서브넷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Level 3
- Goal 1
- A1과 B1이 스위치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 스위치는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통신이기 때문에, C1의 Mask와 동일한 값을 A1과 B1에 넣어준다.
- IP도 A1과 같은 네트워크로 B1에 넣어준다
- Goal 2
- A1과 C1이 스위치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 C1의 IP를 A1과 같은 네트워크로 넣어준다.
Level 4
- Goal 1
- A1 과 B1이 스위치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 A1 과 B1이 동일한 Mask, 네트워크에 속하도록 값을 넣어준다.
- Goal 2, Goal 3
- A1, B1 과 R이 스위치 + 라우터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 라우터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R1의 IP를 A1, B1과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도록 값을 넣어준다.
Level 5
- Goal 1
- A1과 R1이 통신해야 한다.
- 동일한 Mask, 네트워크로 값을 넣어주면 된다.
- Goal 2
- B1과 R2가 통신해야 한다.
- 동일한 Mask, 네트워크로 값을 넣어주면 된다.
- Goal 3
- A1과 B1이 라우터를 통해 통신해야 한다.
- 라우팅 테이블에 원하는 목적지인 (A1 > R1 / B1 > R2) 에 가는 경로(IP)를 등록해주는 행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 Routes 왼쪽에는 목적지, 오른쪽에는 경로가 되는 라우터의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한 라우터로 보내야 한다면 목적지에 defalut나 0.0.0.0/0 을 입력해줘도 된다.
Level 6
- Goal 1
- A1에서 스위치와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야 한다.
- A1의 Mask 를 R1의 Mask와 동일하게 넣어준다.
- A의 Routes 왼쪽에는 Internet의 IP/Mask 를, 오른쪽에는 R1의 IP를 넣어준다.
- R의 Routes 왼쪽에 0.0.0.0/0 을 넣어준다.
- 인터넷의 불특정한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목적지를 입력해줘야 하여, default나 0.0.0.0/0 을 입력하면 안된다. I의 Routes 왼쪽에는 A의 IP/Mask 를 넣어준다.
궁금한 내용 / 부족한 내용🧐
Netpractice 과제의 Level 6 문제에서 Internet의 라우터에 목적지는 default 와 0.0.0.0/0 이 아닌 특정 네트워크를 입력해야하는 부분과, 실제로 정확한 IP 정보가 아니여도 통과된다는 부분이 의문이다. 인터넷은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통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해주어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대역만 맞으면 정확한 IP가 아니여도 통신이 가능하다,, 정도로 이해해보았지만 이게 맞는 정보인지가 확신이 없다. 자료를 찾아보고 싶은데 정확한 용어를 몰라서인지 찾기가 어렵다.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혹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선한 관심과 도움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0620 (0) | 2023.06.21 |
---|---|
[TIL]20230619 (0) | 2023.06.20 |
[TIL] 20230617 (0) | 2023.06.18 |
[TIL] 20230616 (0) | 2023.06.17 |
[TIL] 20230601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