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Today I Learn

[TIL]20230619

madylin 2023. 6. 20. 15:07
반응형

오늘 공부한 내용📓

- 네트워크

개념 공부

Netpractice 문제 풀이

Level 7

  • A1 과 C1이 라우터를 통해 통신해야 함
  •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장비이기 때문에, 연결된 장비끼리는 같은 네트워크를, 다른 연결과는 다른 네트워크로 변경해준다.
  • R11과 R12 가 다른 네트워크여야 하는데, IP가 고정되어 있으니 Mask를 /25로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분리시켜준다. 분리시킨 네트워크에 맞추어 R11과 동일한 네트워크로 A1에 넣어주고, R12와 동일한 네트워크로 R21에 넣어준다.
  • R22도 R21과 다른 네트워크여야 하기 때문에, R22의 IP를 다른 네트워크로 변경해주고, C1도 동일한 네트워크로 넣어준다.

 

궁금한 내용 / 부족한 내용🧐

1. Netpractice Level6에서 아래 빨간네모 박스에 해당하는 경로가 없는데 어떻게 연결되는건지? R2의 IP와 같은 네트워크이긴 한데, 이걸 의미하는 걸까?

→ 서현이한테 물어봤는데, 인터넷이 163.172.250.1 을 사용한다고 지정해준거고, R2와 같은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통신할 수 있다고 한다.

 

2. Netpractice Level7에서 R1, R2에 세팅된 경로가 서로를 가리키고 있는데, 어떻게 A1 부터 C1 까지 통신이 되지?

R22 가 C1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슬랙을 봤는데, 그렇게 따지면 모든 연결이 다 직접연결된 상태 아닌가? 그럼 왜 라우팅 테이블이 필요하지?

 

→ A1 에서 C1 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진행된다.

  1. A1과 R11 은 같은 네트워크이니 데이터가 전달되어 R1 도착
  2. R11과 R12는 다른 네트워크이니 라우터를 통해 전송되어야 하여, 라우팅 테이블에서 모든 목적지는 R21로 가라는 내용을 확인
  3. 같은 네트워크인 R12에서 R21로 전송
  4. R2에서 갈 수 있는 경로는 모든 목적지에 대해 R12로 보내는 경우와 직접 연결로 C1으로 갈 수 있는 경로 가 있으며, 직접 연결을 우선으로 전송되어 C1으로 전송됨

그럼 A와 C는 직접연결이라 라우팅 테이블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은데, 하단에는 왜 라우팅 테이블이 있는지를 물어보니, 정확하진 않지만 명시적 의미라고 한다.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혹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선한 관심과 도움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0621  (0) 2023.06.22
[TIL] 20230620  (0) 2023.06.21
[TIL] 20230618  (0) 2023.06.19
[TIL] 20230617  (0) 2023.06.18
[TIL] 20230616  (0) 2023.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