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공부한 내용📓
- 네트워크
개념 공부
IP
- 컴퓨터나 기타 장치가 인터넷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유한 번호
- 32비트 숫자이며, 4개의 옥텟으로 구성
- 옥텟은 0 ~ 255 사이의 값을 가짐
- 10진수로 표기
Subnet Mask
- IP주소를 네트워크와 호스트로 분할하는데 사용되는 32비트 숫자
- 기존에는 클래스 기반의 IP 주소 체계(’클래스풀’ 이라고 함)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비효율적이라 사용하지 않고 (’클래스리스’ 라고 함), 서브넷마스크로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함
- TCP/IP 프로토콜에서 호스트가 로컬 서브넷에 있는지, 원격 서브넷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됨
- 1과 0의 조합으로 구성이며, 1은 네트워크 주소, 0은 호스트 주소로 나타냄
- IP 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AND 연산한 결과가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가 호스트 주소
10진수 2진수 IP : 192.168.123.132 11000000.10101000.01111011.10000100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10진수 2진수 네트워크 주소 : 192.168.123.0 11000000.10101000.01111011.00000000 호스트 주소 : 0.0.0.132 00000000.00000000.00000000.10000100 - 결과로 보면, 마지막 옥텟이 호스트 주소이고, 그 외에 세개의 옥텟이 네트워크 주소인 것 같다.
- 네트워크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의 시작 주소를 의미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
- 서브넷마스크를 가독성 좋게 표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기법
- IP : 192.168.123.132 /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인 경우, 192.168.123.132/24 로 표시함
- 슬래시 뒤의 숫자는 서브넷마스크에서 1이 연속되는 비트의 개수
- 표기법 계산 방식
- Bitmask 값 만큼 1을 나열하고, 32비트가 되도록 남은 자리를 0을 나열한 후 10진수로 변환하면 서브넷마스크 값
- 위 값의 마지막 옥텟이 Netmask
- 256에서 Netmask를 빼면 호스트 수
- 256에서 호스트 수를 나누면 네트워크 수
- 서브넷마스크 표
Bitmask Netmask 네트워크 수 (서브넷 개수) 호스트 수 /25 128 2 128 /26 192 4 64 /27 224 8 32 /28 240 16 16 /29 248 32 8 /30 252 64 4 /31 254 128 2 /32 255 256 1 - 네트워크 수 예시
- 192.168.123.132/25인 경우, 사용할 수 있는 IP 대역은 아래와 같음
(각 네트워크 구역의 첫번째와 마지막 주소(브로드캐스트)는 사용할 수 없음)네트워크 1 192.168.123.0 ~ 192.168.123.63 네트워크 2 192.168.123.64 ~ 192.168.123.127 네트워크 3 192.168.123.128 ~ 192.168.123.191 네트워크 4 192.168.123.192 ~ 192.168.123.255
- 192.168.123.132/25인 경우, 사용할 수 있는 IP 대역은 아래와 같음
- Bitmask 가 커지면(호스트 ID방향으로 움직이면) 서브네팅이며, 작아지면(네트워크 ID방향으로 움직이면) 슈퍼네팅이다.
💡 서브네팅, 슈퍼네팅
IPv4의 주소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
서브네팅(Subnetting) :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서브넷)으로 나눔.
슈퍼네팅(Supernettint) : 여러 네트워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합침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주소
- 특정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됨
- 서브넷마스크의 ‘1’인 부분을 ‘0’으로 바꾸어 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수 예시 표의 각 대역의 마지막 값이 브로드캐스트이다. (ex : 192.168.123.63)
- 네트워크 대표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컴퓨터나 라우터가 자신의 IP로 사용하면 안됨
도움된 참고자료
어려웠던 내용😢
네트워크를 공부하며 인터넷에서의 정보의 분산화와 부정확함을 크게 느낄 수 있었다.. 블로그를 찾아보고 Bard를 사용하며 오늘의 공부를 했는데, 게시글마다 내용이 부족한 경우도 있고 내용이 다른 경우도 있어서 혼란을 느꼈다. 아직 Bard에게 질문을 잘 하지 못하는 건지 Bard가 알려주는 내용은 이해하기도 어렵고 결과적으로 공부에 사용하긴 부족한 내용을 알려주었고, 블로그는 한 블로그를 보고 이해하고 넘어가려 했더니 CIDR 내용이 없어서 중요한 부분을 놓칠 뻔 했었다.
오늘 공부한 내용을 이해하고 나니 재미있긴 하지만, 서브넷마스크 계산 & CIDR 표기법 공부할 땐 머리가 너무 안돌아가서 힘들었다ㅠㅠ 네트워크 넘나 어려운 것..
제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혹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선한 관심과 도움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TIL::Today I Lea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0230619 (0) | 2023.06.20 |
---|---|
[TIL] 20230618 (0) | 2023.06.19 |
[TIL] 20230616 (0) | 2023.06.17 |
[TIL] 20230601 (0) | 2023.06.02 |
[TIL] 20230531 (0) | 2023.06.01 |